영문 제목  
전시중 전시종료 
작가명  
Exhibition id  
순서 Jun 21, 2017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 룩북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는 서로 다른 시각영역에서 복식문화에 관심을 가져온 네 명의 작가(김세형, 박승혁, 신동휴, 양민영)가 각각의 유니폼을 고안함으로써 ‘옷 입기’의 다양한 방법을 살피는 전시다. 이 책은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전시를 통해 작가들이 고안해낸 유니폼에 관한 룩북이다. 룩북을 통하여 동시대의 의복을 규정하는 조건—복제가능성, 기능성 등의 몇 가지 규칙들을 통제하거나 전복하며, ‘어떻게 입을 것인지’에 대한 작가들의 가볍고 소소한 실험들을 볼 수 있다.

 

발행 : 갤러리 팩토리

판매가 : 10,000원

디자인 : 섬광(김기조, 김성구)

사진 : 강민구

 

전시 초대 기획 : 윤율리 

전시 참여 아티스트 : 김세형(AJO with 황인섭), 박승혁, 신동휴, 양민영 

전시 후원 : 이연생활뷰티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 전시에 관한 글 중 일부 발췌

 

패션이 위대함을 지녔던 시절이 있다. 그 시대의 옷입기는 명예와 그 명예에 걸맞는 혁명성을 가지고자 애썼다. 이런 이야기는 탈색된 과거에 대한 분별없는 향수처럼 느껴질지도 모르지만, 모든 결과론적 판단과 별개로, 중요한 것은 그 시대에 하나의 일관된 미덕이 정직하게 추구되었다는 사실이다.

      리얼웨이와 런웨이의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유니클로의 성공 이후 각종 SPA 브랜드의 놀라운 성장 속에 ‘옷입기’를 고민하는 일은 평범한 소비자들의 일상으로부터 점점 멀어져가고 있다. 이런 분위기와 관련해 최근 패션씬에서 일어난 가장 암시적인 사건은 잡지 ‹프루츠 FRUiTS›의 폐간일 것이다.

      약간의 시간이 흐른 뒤 사람들은 새로운 시대에 무엇도 죽지 않게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위대한 것들, 위대했던 스타일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되살아나 산업의 어딘가를 배회한다. 망자는 말이 없지만 오히려 살아있는 자들은 약간의 초조함을 느끼는 듯 하다. 오늘은 어제의 그림자와 싸울 수 있을 뿐이다. 도쿄에 도무지 찍을 것이 없다는 쇼이치의 고백은 어느 정도 사실이었을 것이다. 스타일이라고 이름 붙일만한 것들은 이제 거리 위에서 뽐내어지지 않고 몇 가지 해시태그로 묶여 인스타그램을 유랑한다. 기묘한 평등주의를 실현한 네모 프레임 속에는 시즌도, 명예도, 혁명성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모두 시간에 관련된 어떤 특수한 입장들이기 때문이다. 쇼이치는 이것을 모르지 않았겠지만 끝내 못본 척 함으로써 스스로 사라지는 쪽을 택했다. 생산성보다는 회전의 속도가 중요해진 도시의 삶에서, 전혀 새로운 가난을 직면한 세대의 삶에서, 옷입기는 대체 무엇을 의미하게 된 걸까? 나는 영원히 ‘소년’(‘Your Boyhood’는 홍석우가 운영 중인 블로그 프로젝트의 이름이기도 하다)일 것만 같던 이들의 뒷모습을 떠올린다. 무언가 거창한 일성과 함께 쫓기듯 ‹프루츠 FRUiTS›는 사라졌고 서상영은 하와이로 이주했다. 올드보이들이 떠나버린 곳에, 더 이상 열매를 기다리는 이들은 없다.

 

 

전시 참여 작가 소개

 

양민영은 연세대학교에서 생활디자인을 전공하고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더배곳을 졸업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는 특이하게도 선주문 방식의 맞춤의류를 생산하는 ‘스와치’(SWATCH, 2016–)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옷에 관한 잡지 ‹쿨›(불도저프레스, 2015–)을 발행해 왔다. 이번 전시를 위해 양민영은 스와치의 네 번째 프로젝트 ‹도형 원피스›를 기획했다. 갤러리 팩토리의 로고 아이덴티티를 활용해 사선의 파란색 줄무늬를 각기 다른 간격으로 변주하며, 특별한 에디션의 하나로 동그라미 스와치를 함께 시도한다. ‹도형 원피스›는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옷을 하나의 기하학적 평면으로 탐구해 온 작가의 관점을 특징적으로 드러낸다. 양민영은 ‹혼자 사는 법›(커먼센터, 2014), ‹그래픽 34호: XS 영스튜디오 컬렉션›(우정국, 2015), ‹서울 바벨›(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워크스 부스 내 입점, 2016) 등에 참여했고, 현재 테이블유니온에 소속되어 있다.

 

김세형은 국민대학교에서 의상디자인을 전공한 후 황인섭과 아조 스튜디오(AJO Studio, 2014-)를 운영해 왔다. 미술작가 오민과 장지우의 퍼포먼스/영상에 사용된 코스튬을 만들면서 현대미술가들과 협업하기 시작했다. 김세형이 제작한 지우맨 수트는 슈퍼히어로-전대물의 양식을 차용한 장지우의 작업 ‹Be The Hero: ZEEWOOMAN›(2014–)을 통해 컬트한 인기를 구가했다.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에서 그는 당시 지우맨의 수트를 복각하고 이를 다시 각 부위의 기능에 맞는 개별 파츠—모자, 벨트조끼, 망토, 바지로 해체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최근 아조는 별도의 세컨드라벨 ‘AJOBYAJO’를 런칭해 일본, 싱가폴, 대만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건국대학교에서 의상디자인을 전공한 신동휴는 신생미술공간 아카이브 봄과 연계해 ‘서비스룸’(Serviceroom, 2016–)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시각문화 전반에 관련된 독특한 포지셔닝의 이벤트를 기획하고 이를 현실에 구현/작동시켜 왔다. 이번 전시에서 신동휴는 테일러링에 대한 경험을 살려 레이저 커팅을 활용한 ‘장식적 유니폼’—‹Decorative Cloth(es)›를 제작한다. 기계적 재봉은 대량생산이라는 개념을 통해 비로소 현대복식을 성립케 했던 핵심 기술이다. 최신 레이저 기술과 결합한 유니폼은 재봉선 없이 한 판의 도안에 곧장 ‘프린트’되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떼내어 몸에 걸침으로써 튜닉의 형태를 갖춘다. 평면에서 입체를 구현하는 선형의 흔적은 옷이 추상화하는 근본적인 부피감에 대한 회화적 표현처럼 읽히기도 한다.

 

박승혁은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에 참여하는 유일한 미술작가다. 2015년 기고자에서 ‹길다란 싱크›로 데뷔했으며, ‹서울바벨›(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2016), ‹bodies?›(스트로모브카, 2015), ‹앙상블›(스트로모브카, 2016), ‹Through Hollow Land›(기고자, 2016) 등의 전시에 참가했다. 박승혁은 지난 몇 년 간 현대미술의 현장에서 간단한 기념품으로만들어져 증정되거나 판매되었던 에코백들을 수집해 리폼한다. 손잡이를 제거한 뒤 작은 매듭 디테일을 추가한 에코백은 마치 오늘의 미술을 향해 흔들거리는 작은 깃발 같다. 긴 타임라인이 되어 도열한 산만한 이미지와 ‘주장’들은 누군가에겐 노스탤지어를 누군가에겐 까닭모를 부끄러움을 선사할 것이다. 이로써 이 예술-프로파간다의 운명도 새롭게 되풀이repeat되고 만다.

 

 

<노 모어 프루츠 No More Fruits>룩북 입고처

 

갤러리팩토리 Gallery FACTORY
영업시간 : 화 - 일(월 휴무) 11:00 - 19:00
전화 : 02-733-4883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창성동 127-3
www.factory483.org

 

헬로 인디북스

영업시간 : 수 - 월(화 휴무) 15:00-21:00 

전화 : 010-4563-7830

주소 :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227-16

 

더북소사이어티

영업시간 : 화-금(월 휴무) 13:00~20:00

                주말 13:00~19:00

전화 : 070-8621-5676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0길 22 2층
              

고스트북스

영업시간 : 화-일(월 휴무) 13:00~20:00

전화 : 053-256-2123

주소 : 대구 중구 경상감영길 212 3층

- 부대 프로그램

관련글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