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j05s15a.jpg

 

몽골 어린이들이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 위치한 다문화청소년 지원센터인 ‘청소년무지개센터’에서 한국인 미술강사와 함께 고무찰흙을 빚고 있다. 사진제공/갤러리 팩토리



[창간61주년 특집]‘특별한 아이’ 아닌 ‘함께 커가는 아이’로 
경향신문|기사입력 2007-10-04 14:06 |최종수정2007-10-04 14:33  


-다문화 가정 청소년 교육 실태-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의 무지개청소년센터. 11명의 몽골 어린이들이 미술강사의 지도에 따라 고무찰흙 빚기에 빠졌다. 

지난 8월 이주노동자인 부모들을 따라온 아이들은 작은 손끝으로 펭귄, 태양, 달팽이, 사과 등을 만들며 몽골어로 재잘거린다.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등과 같은 한국어로 예의바르게 인사하는 아이들 눈빛이 맑다. 다문화청소년 지원단체인 무지개센터가 지역 종교봉사단체와 연계해 마련한 이날 미술특강에 참여한 엘카(12)는 소감을 묻자 수줍은 듯 “재미있어요”라고 한국어로 대답한다. 지역 봉사단체가 마련한 한국어 교실에서 말을 익힌 뒤에 초등학교로 편입해 한국 아이들과 한 반 친구로 공부할 계획이다.

2007년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는 100만명. 한국 사회는 이미 다문화시대에 접어들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각종 정책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10여년 전 여성정책이 쏟아지던 때와 비견할 만하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 교육과정에 다문화 요소를 반영하고 다문화교육센터를 서울대에 지정해 운영하는 방안을 뼈대로 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교육부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다문화 교육요소 반영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권 보장 ▲교사 역량 강화 등을 핵심과제로 지정해 추진 중이다.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역시 상담센터나 한국어반 특별학급을 운영하고 학부모 연수를 실시하는 등 학교에서의 교육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도 취학 전 보육 및 방과후 학습을 지원하고 교사 및 관련분야 전공 대학생과의 멘토를 결성하는 등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을 위한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올해 시범적으로 아동양육 도우미를 양성한 뒤 12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이민자 가정에 주 3회 찾아가는 방식으로 아동별 발달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서울여성플라자와 함께 ‘이주여성지원 협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여성 이민자의 한국어 능력이 자녀의 언어와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한글 및 문화예술 교육 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이 같은 정책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교육시스템이 온전히 정착하기에는 아직 멀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거창한 프로젝트 추진이나 거액의 예산을 책정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이해하고 ‘이방인’이 아닌 ‘동반자’로 받아들이는 ‘마음의 자세’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수정 부소장은 “다문화 어린이 및 청소년들은 ‘어려운 처지’에 있는 아이들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가는 아이들”이라며 “그들을 ‘특별한 아이’로 대우하기보다는 진정으로 수용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일선 학교에서는 다문화가정 아이들을 대안학교 등으로 떠미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는데 교육당국은 이런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가 도와야 한다고 생각하는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자신들을 수혜자로 보는 시선이 불편하다고 토로한다. 실제로 여성인권센터에는 아이의 학교에서 다문화가정 부모 초청회가 있어 교육상담을 기대하고 갔지만 저녁 대접하고 선물 주는 것이 전부였다며 한국 사람들은 다문화가정 하면 ‘저녁 식사 사고 선물 사주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생각한다는 내용의 상담이 자주 들어오고 있다.

또 우리나라 교사나 학생들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모자라 이들에게 인종차별적 대우를 하는 경우도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 대부분이 아직 초등학생이라 큰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지는 않지만 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10년 후쯤이면 우리 사회가 큰 홍역을 치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영달 서울대 사범대학장은 “여러 기관에서 추진 중인 다문화가정 정책을 통합한 뒤 관련 기관들간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안”이라며 “더 나아가 다문화가정 인구가 늘어나면서 사회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 독일, 프랑스 등의 학자들과 협력 채널을 구축하는 방안도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민영·선근형기자 ssun@kyunghyang.com

130 이재이 개인전: 행복이 가득한 집 12월호 2016.04.01
129 이명호 개인전 : Ventiquattro 2016.04.01
128 이재이 개인전: BAZAAR 11월호 2016.04.01
127 이재이 개인전: 주간동아 11월 20일자 2016.04.01
126 이재이 개인전: 코리아 헤럴드 2016.04.01
125 노준 x 서승모_1st collabo: Art in Culture 11월호 2016.04.01
124 해럴드경제: 이재이개인전 2016.04.01
» 노준 x 서승모_1st collabo:경향신문_몽골어린이 워크샵 관련 2016.04.01
122 이재이 개인전 : 연합뉴스 2016.04.01
121 이재이 개인전_세상의 모든 애인들이 한꺼번에 전화할 때 : 민트페이퍼 2016.04.01
120 갤러리 팩토리 소개: 민트페이퍼 2016.04.01
119 빗각角서敍사事 _ Serendipitous Tangents : 서울아트가이드 11월호 2016.04.01
118 이재이 개인전_세상의 모든 애인들이 한꺼번에 전화할 때 : heren 10월 2016.04.01
117 갤러리 팩토리 소개 : daylight&architecture 2016.04.01
116 사진과 스튜디오, 그리고 거짓에 관하여 전시 소개 : 월간지 미술세계 4월호 2016.04.02
115 사진과 스튜디오, 그리고 거짓에 관하여 전시 소개 : 월간지 공간지 4월호 2016.04.02
114 팩토리의 2007년 2월의 작가 Dean Moss의 새소식: 연합뉴스 2016.04.02
113 빗각角서敍사事 _ Serendipitous Tangents : ELLE 10월호 2016.04.02
112 노준 x 서승모_1st collabo: CONCEPT 10월호 2016.04.02
111 팩토리 소개: 2007년 5월 Maison 2016.04.02